NaviQ 자료실

NaviQ 자료실

NaviQ 용어

NaviQ 용어

BIM 5D (Cost)

BIM 5D (Cost)

3D BIM 모델에 공정(4D)과 공사비(5D) 정보를 연계하여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출처 : ISO 19650-5:2020, buildingSMART 정의

Navisworks

Navisworks

다양한 3D 모델링 파일(CAD, BIM 등)을 통합하여, 검토, 시뮬레이션, 간섭검토(Clash Detection), 4D 시공 시뮬레이션(Time Simulation)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Autodesk사의 통합 검토(Review) 소프트웨어이다. 주로 대규모 건설, 플랜트, 인프라 프로젝트의 사전 시공검토 및 4D/5D 시뮬레이션 용도로 사용된다.

출처 : Autodesk "Navisworks Product Overview", buildingSMART "BIM 협업 모델 검토 가이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시공·유지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3D 모델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술. 공간정보(위치, 크기)와 속성정보(재료, 공법 등)를 동시에 포함한다.

출처 : ISO 19650-1:2018

EBS (Event Breakdown System)

EBS (Event Breakdown System)

건설공사비 내역서 작성을 위해, 공정별 수량 산출과 단가 적용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주)글로텍의 국내 표준 공사비 내역작성 프로그램이다. 주로 2D CAD 도면과 수량산출서를 기반으로 공종별, 세부공종별, 작업단위별 수량을 산출하고, 단가를 적용하여 공사비를 산정한다. 주로 공공기관, 건설사, 설계사에서 널리 사용된다.

출처 : 조달청 "EBS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 내역작성 표준지침"

비용분류체계 (CBS, Cost Breakdown Structure)

비용분류체계 (CBS, Cost Breakdown Structure)

작업단위가 아닌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비용, 예산 또는 원가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구조를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작업분류체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 팀이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실행하는 작업을 계층구조로 세분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객체분류체계 (OBS, Object Breakdown Structure)

객체분류체계 (OBS, Object Breakdown Structure)

작업단위가 아닌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구조를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매트릭스 (Matrix)

매트릭스 (Matrix)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구조를 의미하며,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항목 간의 관계(매핑, 비교, 분류 등)를 명확히 표현할 때 사용된다. 매트릭스는 건설, IT, 제조,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정렬, 연계관계 표시, 가중치 분석 등에 활용된다.

출처 : ISO 8000 "데이터 품질 관리 기준", 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NaviQ에서는 내역 Matrix를 통해 CBS와 WBS 조합에 의한 BIM 5D 내역서를 산출하게 된다.

매핑 테이블 (Mapping Table)

매핑 테이블 (Mapping Table)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예: BIM 모델 객체와 CBS 코드, WBS 코드)를 연결하고 대응시키기 위해 구축하는 일종의 대응표(Reference Table)이다. 매핑 테이블은 데이터 간 관계를 명확히 하여, 자동화된 수량산출, 비용산정, 공정연동을 가능하게 하며, BIM 기반 프로젝트 관리(BIM 5D, 6D)에서 핵심적인 데이터 연계 수단으로 사용된다.

출처 : ISO 12006-2 "Building Construction -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Works", buildingSMART "Data Dictionary and Mapping Guidelines"

일위대가 (Unit Price)

일위대가 (Unit Price)

단위 작업(1m³, 1m² 등)의 수행에 필요한 단가.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성된다.

출처 : 국가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vit

Revit

건축(Architecture), 구조(Structure), 설비(MEP) 설계에 최적화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Autodesk사가 개발했다. Revit은 단순한 3D 형상만이 아니라, 도면, 수량, 속성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어 건축설계, 구조설계, 설비설계 및 시공 전 과정에 활용된다.

출처 : Autodesk "Revit Product Overview", buildingSMART "BIM 기반 설계 표준 가이드"

BIM 저작도구(BIM authoring tool)

BIM 저작도구(BIM authoring tool)

수급인이 BIM 모델을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Civil 3D

Civil 3D

토목 엔지니어링 설계(도로, 철도, 부지조성, 상하수도 등)를 위한 Autodesk사의 BIM 기반 3D 토목설계 소프트웨어이다. Civil 3D는 설계요소(Alignment, Profile, Section 등)를 객체로 관리하고, 모델 기반 설계(Model-Based Design)를 통해 토목 인프라 프로젝트의 설계, 해석, 문서화를 통합 지원한다.

출처 : Autodesk "Civil 3D Product Overview", buildingSMART "BIM 기반 토목설계 가이드라인"

자동 수량 (Automatic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자동 수량 (Automatic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BIM 저작도구의 고유기능을 활용하여 BIM 모델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물리량을 말한다.

(例) 체적, 면적, 길이, 개수 등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연동 수량 (Interworking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연동 수량 (Interworking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BIM 모델 자동수량과 내역적용 수량산출 계산식에 필요한 속성정보 값을 연동시켜 BIM 저작도구 내 연산기능에 의해 산출하는 객체 또는 비객체 BIM 모델의 물리량을 말한다.

(例) 비계, 동바리, 스페이서, 신축이음, 거푸집 등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수동 수량 (User-input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수동 수량 (User-input bill of quantity of BIM model)

사용자가 BIM 저작도구의 속성정보 입력란을 통해 수동으로 입력한 수량 또는 BIM 모델 객체와 무관하게 보조도면 등을 통해 수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수량산출 도구(tool) 등을 활용하여 수동으로 산출하는 비객체 BIM 데이터의 수량을 말한다.

(例) 임시 가건물, 각종 품질시험, 계측, 환경시설 등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물량 분개 (Quantity Breakdown)

물량 분개 (Quantity Breakdown)

공사의 전체 수량(총 물량)을 공정별, 작업별, 구간별(WBS 기준)로 세분화하여 나누는 작업을 말한다. 물량 분개는 기성관리, 공정관리, 자원배분, 비용관리(5D) 등을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정관리 업무지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기반 수량산출 가이드라인"

내역서 (Bill Of Quantities, BOQ)

내역서 (Bill Of Quantities, BOQ)

건설공사에서 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로, 공종별·작업별로 필요한 수량(수량 산출서)과 이에 해당하는 단가를 명시하여 총공사비를 도출하는 기초 자료이다. 내역서는 공사의 범위(Scope)를 명확히 하고, 발주자와 계약자 간 계약 체결 및 공사비 관리의 기준이 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사비 내역서 작성 기준",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for Construction"

건설정보분류체계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건설정보분류체계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건설공사의 제반 단계에서 발생되는 건설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하며, BIM의 경우 BIM 모델 데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객체 및 속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목록을 말한다. BIM 적용 시 사용하는 표준분류체계의 예로는 작업분류체계(WBS), 객체분류체계(OBS), 비용분류체계(CBS) 및 속성분류체계 등이 있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일위대가 호표 (Unit Price Table)

일위대가 호표 (Unit Price Table)

공사에서 특정 작업 1단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노무비, 재료비, 경비로 구분하여 세부 항목별로 상세히 정리한 표이다. 일위대가 호표는 공종별 수량산출서와 연결되어 단가 적용의 기준이 되며, 전체 공사비 산정의 핵심 자료로 사용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사비 내역서 작성 기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표준품셈"

일위대가 산근 (Unit Price Derivation)

일위대가 산근 (Unit Price Derivation)

특정 작업 1단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총비용(일위대가)을 산출하기 위해, 노무비, 재료비, 경비를 각각 산정하고 이들의 합을 계산하는 근거 과정을 말한다. 일위대가 산근은 수량산출서, 품셈, 단가자료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며, 단가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공식 문서로 사용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사비 내역서 작성 기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표준품셈"

일위대가 실적 (Actual Unit Price Performance)

일위대가 실적 (Actual Unit Price Performance)

과거에 실제로 발주, 계약, 시공된 공사에서 적용된 일위대가(노무비, 재료비, 경비 포함)를 실적 데이터로 수집한 것을 의미한다. 일위대가 실적은 표준품셈 기준 대신, 실제 시장 상황, 계약 사례, 시공 결과를 반영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높으며, 공공기관 및 발주처에서는 실적단가를 활용하여 예정가격을 산정하거나 적산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출처 : 조달청 "실적단가 적산 기준",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단가자료 관리지침"

표준품셈

표준품셈

공사에 필요한 인력, 재료, 장비, 작업방법 등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 단위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표준적인 노무량, 재료량, 장비 사용량 등을 정리한 기준 문서이다. 표준품셈은 공공공사의 설계 내역서 작성, 기초단가 산정, 공사비 산출 등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주기적으로 갱신되며, 품셈 수치(노무량, 재료량, 경비)는 실제 시공 현장 여건과 시장 실태를 반영하여 작성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준품셈 관리지침"

기초단가

기초단가

자재비, 노무비, 경비 등 개별 요소별로 설정된 기본 단가를 의미한다. "기초단가"는 표준품셈, 시장단가, 실적단가 등을 기반으로 산정되며, 이를 조합하여 일위대가(단위작업당 총비용)를 계산하는 기초 데이터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1m³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단위당 인건비, 자재비, 장비비가 각각 정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품셈 작성지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기초단가 기준안"

재료비 (Material Cost)

재료비 (Material Cost)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직접 소모되는 자재·재료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는 데 드는 비용을 말한다. 재료비에는 콘크리트, 철근, 아스콘, 골재, 배관자재, 전선 등과 같은 주요 재료뿐만 아니라, 부자재(철사, 못, 볼트류 등)도 포함된다. 공사비를 구성하는 3대 요소(노무비, 재료비, 경비) 중 하나이며, 수량 × 단가 방식으로 산출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품셈", 국가표준 단가관리지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무비 (Labor Cost)

노무비 (Labor Cost)

공사 현장에서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노동자, 기능공, 기술자 등)에게 지급하는 임금 및 제수당을 의미한다. 노무비에는 기본 급여 외에도 법정 수당(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과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사용자 부담분 등이 포함된다. 공사비를 구성하는 3대 요소(노무비, 재료비, 경비) 중 하나이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품셈", 고용노동부 "건설일용근로자 임금지급 기준"

경비 (Expense, Overhead Cost)

경비 (Expense, Overhead Cost)

공사 수행에 직접 소모되는 인건비·재료비를 제외한 기타 모든 부대비용을 의미한다. 경비에는 장비 사용료, 운반비, 가설비(임시시설 설치비), 품질시험비, 안전관리비 등이 포함된다. 경비는 공사비를 구성하는 3대 요소(노무비, 재료비, 경비) 중 하나로, 공정별 특성과 공사 유형에 따라 산정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품셈", 국가표준 단가관리지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비비 (Equipment Cost)

장비비 (Equipment Cost)

공사에 필요한 건설기계·장비(예: 포크레인, 불도저, 덤프트럭 등)의 사용 또는 임대에 따른 비용을 의미한다. 장비비는 작업 수행에 필요한 장비의 운전료, 연료비, 감가상각비, 수리비, 보험료 등을 포함하며, 경비 항목 중 하나로 분류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건설기계 표준사용료 고시", 건설공사 표준품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산식 (Formula)

산식 (Formula)

BIM 객체의 수량 산출을 위해 설정하는 수학적 계산식. (예: 체적 = 길이 × 폭 × 높이)

출처 : ISO 29481-1:2016

산식 연동 (Formula-based Linking)

산식 연동 (Formula-based Linking)

BIM 모델의 속성정보(예: 길이, 면적, 체적 등)를 기반으로 사전에 정의된 산식을 적용하여 수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이를 CBS(공종별 원가구조) 및 공사비 계산과 연계하는 기술이다. 산식 연동은 수량 산출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며, 설계 변경 시에도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BIM 기반 5D 공사비 산출의 핵심 기능으로 활용된다.

출처 : buildingSMART "BIM Quantity Take-off and Cost Estimation Guideline", ISO 12006-2 "Building Construction -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Works"

기성관리

기성관리

공사 진행률에 맞춰 실제 작업량 및 비용을 관리하는 것. 주로 WBS 기반으로 물량을 분리하여 관리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사기성 관리 지침

5D 시뮬레이션 (5D Simulation)

5D 시뮬레이션 (5D Simulation)

4D 시뮬레이션(3D+Time)에 "비용(Cost)" 정보를 추가하여, 공정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사비 변동을 실시간으로 예측·관리하는 시뮬레이션 과정이다. 5D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량, 단가, 진척률 기반 비용 예측과 변경 대응이 가능하다.

출처 : buildingSMART International "Principles for 5D BIM Cost Estimation and Management", ISO 19650-5:2020 "Security-minded approach to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4D (4th Dimension: Time in BIM)

4D (4th Dimension: Time in BIM)

3D BIM 모델에 시간(Time) 요소를 추가하여, 설계된 구조물의 시공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시뮬레이션하고, 공정 계획(Construction Schedule)과 연계하여 관리하는 기술이다. 4D BIM은 공정 간 간섭(Collision) 및 시공 순서의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고, 프로젝트 일정 최적화와 리스크 관리를 지원한다.

출처 : buildingSMART "BIM 기본 개념서", ISO 19650-1:2018 "BIM 정보 관리 국제표준"

공정관리 (Construction Scheduling/Management)

공정관리 (Construction Scheduling/Management)

건설 프로젝트가 계획된 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작업의 순서, 기간, 자원(인력, 장비, 자재) 배분을 체계적으로 계획·통제하는 활동. 공정관리는 주로 공정표(Bar Chart, CPM, PERT 등)를 작성하고, 진척률(Progress Rate)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목표 대비 실적을 비교·분석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출처 : 국토교통부 "공정관리 업무지침", 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프리마베라 (Primavera P6)

프리마베라 (Primavera P6)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정(Schedule), 자원(Resource), 비용(Cost)을 통합적으로 계획·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문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특히 복잡한 작업 간 관계(선행·후속 관계), 자원 할당, 진척률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건설, 플랜트,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표준적으로 활용된다. 현재 Oracle사가 소유 및 개발하고 있다.

출처 : Oracle "Primavera P6 Product Overview", 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MS-Project (Microsoft Project)

MS-Project (Microsoft Project)

프로젝트 일정(Schedule), 자원(Resource), 비용(Cost)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간트 차트(Gantt Chart) 기반으로 작업 계획과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소규모부터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일정/자원/비용 통합관리를 지원한다.

출처 : Microsoft "Project Management Software Overview", 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4D 시뮬레이션 (4D Simulation)

4D 시뮬레이션 (4D Simulation)

3D BIM 모델에 "시간(Time)" 정보를 추가하여, 시공 순서와 공정 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이다. 4D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 계획, 작업 순서, 공정 간 간섭(Clash)을 사전에 검토하고 시공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출처 : buildingSMART International "BIM Collaboration Format and Information Delivery Manual Guidelines", ISO 19650-1:2018 "Organization and digitization of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nd civil engineering works, inclu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설계 (BIM Design)

BIM 설계 (BIM Design)

설계․시공 등 건설사업의 각종 업무수행에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BIM 저작도구를 통해 BIM 모델을 작성하고, 도면 등 그 외 필요한 설계도서는 BIM 모델로부터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적용지침에서는 전면 BIM 설계 또는BIM 전면수행 방식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가) BIM 전면수행 방식 : 원칙적으로 시설물의 모델을 BIM 저작도구로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나) BIM 병행수행 방식: 기존 2차원 설계방식과 3차원 설계방식인 BIM을 함께 활용하는 경우, 병행수행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전체공사 중 특정 공사에만 BIM 설계를 적용하는 경우, 관리감독자와 협의하여 이 적용지침의 일부내용을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 BIM 전환수행 방식: BIM 데이터가 없는 2차원 방식으로 설계 또는 시공이 완료된 기존 시설물에 대하여 BIM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경우 전환수행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전에 BIM 수행계획에 따라 적용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객체 (Object)

객체 (Object)

하나 이상의 개체와 그 내부적 속성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 요소로서 단지 물리적 형상의 표현뿐 아니라 시설물에 대한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관련 업무에의 활용목표에 부합하는 의미있는 정보를 내포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객체 (BIM object)

BIM 객체 (BIM object)

건설사업의 공종과 시설물(교량, 하천, 부대시설 등)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요소 표현에 사용되는 BIM 모델 구성요소를 말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속성정보 (BIM Property data)

BIM 속성정보 (BIM Property data)

3차원 BIM 객체를 정의할 수 있도록 부여된 문자 또는 숫자 등의 데이터를 말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모델 (BIM Model)

BIM 모델 (BIM Model)

BIM 저작도구를 통해 작성한 데이터로 시설물의 3차원 형상과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하며, BIM 데이터 또는 BIM 모델 데이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비객체 BIM 모델 (Non-object BIM model)

비객체 BIM 모델 (Non-object BIM model)

내역 품목 중 BIM 모델 형상화가 불가능하거나 BIM 데이터 작성이 비효율적․ 비합리적인 객체로 내역서 작성을 위한 내역수량 정보를 BIM 모델 속성정보와 별도로 수동 또는 연동 산출하는 유․무형의 객체를 말한다.

(例) 현장사무실, 세륜세차시설, 품질시험, 차량운행, 고자재 처리 등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LOD (Level Of Development)

LOD (Level Of Development)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BIM 모델의 상세수준으로, 형상정보와 속성정보가 연계되어 단계를 거치면서 최종 준공(as-built) 모델로 생성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모델 상세수준 (Level Of Detail)

BIM 모델 상세수준 (Level Of Detail)

기본지침에서 지시하는 BIM 모델의 상세수준에 대한 공통용어로 100, 200, 300, 350, 400, 500의 6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는 생애주기 단계별 모델 상세수준을 정의한 것이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객체 BIM 모델 (Object BIM model)

객체 BIM 모델 (Object BIM model)

내역 품목 중 BIM 모델 형상화가 가능한 객체로 내역서 작성을 위한 내역수량 정보가 BIM 모델 속성정보와 연동되어 자동 또는 연동 산출되는 유형의 객체를 말한다.

(例) 맨홀, 관로, 도로, 교량, 지하차도, 가설구조물 등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데이터 (BIM Data)

BIM 데이터 (BIM Data)

BIM 저작도구를 통해 작성한 데이터로 시설물의 3차원 형상과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하며, BIM 모델 또는 BIM 모델 데이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건설표준정보모델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건설표준정보모델 (IFC, Industry Foundation Classes)

소프트웨어 간에 BIM 모델의 상호운용 및 호환을 위하여 개발한 국제표준(ISO 16739) 기반의 데이터 형식(data format)을 의미한다. 공개된 표준규격의 범위 내에서 BIM 모델의 공유, 교환, 활용 및 보존 등에 사용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공통정보관리환경 (CDE, Common Data Environment)

공통정보관리환경 (CDE, Common Data Environment)

BIM 업무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BIM 수행주체들이 생성하는 정보를 중복 및 혼선이 없도록 공동으로 수집,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한 플랫폼 환경을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속성분류체계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속성분류체계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BIM 객체에 일관된 디지털 정보를 적용하기 위해 표준화된 목록서를 의미하며, 사업, 시설 및 객체별 정보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설정된 속성정보세트(Pset)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응용도구 (BIM application tool)

BIM 응용도구 (BIM application tool)

BIM 성과품의 확인, 품질검토, 분석, 가공 등의 기능을 하나 이상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BIM 라이브러리 (BIM Library)

BIM 라이브러리 (BIM Library)

BIM 모델 안에서 시설물을 구성하는 단위 객체로서,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한 객체정보의 집합을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개방형 BIM (Open BIM)

개방형 BIM (Open BIM)

BIM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국제표준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및 빌딩스마트협회(buildingSMART International)에서 제정한 국제표준 규격의 BIM 데이터를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개방적으로 원활한 공유 및 교환함으로써 BIM 도입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활용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출처 : LH+건설산업+BIM+적용지침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